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4.10.28.~2024.11.3.)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4.10.28.~2024.11.3.)
작성일2024/10/24/ 작성자농*터 조회수110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제44호(2024.10.28.~11.3.).hwpx (3863 kb)

분야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

정보

(기상) 기온은 평년(9.8~11.4)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2.8~7.3)과 비슷하겠음 *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가 있겠음

(저수율) 72.0%(평년 68.7%104.8%) * 10. 21. 기준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토양검정) 작물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하고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여 시비처방서 발급과 지도를 받음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가 소홀하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밭작물

(보리)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유채) 건조한 토양 관수, 유묘기에 솎음작업 또는 보식 실시

채소

(가을배추) 생육 부진 시 요소 0.2%액 살포, 결구상태 및 시세에 따라 출하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 11월 중순~12월 중순 땅이 얼기 전에 비닐 덮음

(시설채소) 흰가루병, 총채벌레, 가루이, 작은뿌리파리 등 발생 초기 방제

(딸기) 야간온도 5이상 유지, 개화기 잎 5~6매 확보, 개화초기 수정벌 투입

과수

(배 수확 후 관리) 수확 후 상처과, 생리장해과, 병해충과, 과숙과는 선별하고 예건 후 저장하여야 장기간 보관 가능

(단감) 생과 출하용(과정부 6, 과저부 5), 저장용(과정부 5, 과저부 4) 색도계 사용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저장) 입고 전 저장고 온도 0, 습도 90%, 최대적재량 저장고 부피 7080% 유지

화훼

(장미) 시설 내 온도 관리를 위해 난방 시작, 밤 온도 15~18로 관리,
일교차가 커지면 온실 내 습도 높아질 수 있으므로 습도관리 유의

특작

(인삼) 노동력 분산을 위해 파종 직후 해가림 시설을 가설하고, 이듬해 봄철 발아기에 피복물을 설치함

(약용) 구릿대는 중북부지역은 가을파종을 하는 것이 좋으며, 우슬과 고본은 잎이 누렇게 변할 때 뿌리가 상하지 않게 수확함

축산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환절기) 큰 일교차 대비 축사시설 방풍 및 보온관리 철저, 축사 내부 청결관리

(화재예방) 환절기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양봉

(월동준비) 일벌 수에 맞춰 월동벌집 매수 축소, 월동먹이 공급을 종료하고 보온 및 월동벌집 배치, 빈 벌집 보관, 합봉 등 월동준비

(병해충 관리) 월동 전 응애류 최종 방제 실시


목록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