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4.11.4.~2024011.10.)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4.11.4.~2024011.10.)
작성일2024/10/31/ 작성자농*터 조회수77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제45호(2024.11.4.~11.10.).hwpx (2895 kb)

분야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

정보

(기상) 기온은 평년(9.4~11.2)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평년(3.5~16.7)보다 적겠음 * 찬 공기의 영향을 일시적으로 받을 때가 있겠음

(저수율) 74.6%(평년 68.9%108.3%) * 10. 28. 기준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토양검정) 작물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하고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여 시비처방서 발급과 지도를 받음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가 소홀하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밭작물

(보리·)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정비

()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이며, 습도는 85~90%

(종자 관리) 작물별 채종 적기 수확과 탈곡 · 조제 시 이형립 섞이지 않도록 주의, 저온 조건에 밀폐 저장

채소

(가을배추) 중북부 동해 받기 전 수확, 남부 부직포나 비닐 등 한파 대비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 11월 하순 파종, 중만생종 양파 11월 상순 아주심기 완료

(시설채소) 보온 및 가온장비 보강, 흰가루병, 총채벌레, 가루이 등 방제 철저

(딸기) 급격한 저온에 대비한 보온시설 정비, 수정벌 투입, 개화기 잎 5~6매 관리

과수

(배 수확 후 관리) 수확 후 상처과, 생리장해과, 병해충과, 과숙과는 선별하고 예건 후 저장하여야 장기간 보관 가능

(단감) 생과 출하용(과정부 6, 과저부 5), 저장용(과정부 5, 과저부 4) 색도계 사용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저장) 저장고 온도 0~2, 습도 80~90%, 산소 5%. 탄산가스 5~10% 적정

- 이산화탄소, 에틸렌 가스장해 방지 위한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 10분씩)

화훼

(장미)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절단면 넓히기, 증산억제 처리, 절화를 깊게 담그기, 화학적 처리 실시

특작

(인삼) 잿빛곰팡이병 예방을 위해 월동전 고사 줄기와 잎을 제거해주고, 봄파종 종자는 개갑된 종자를 0-2의 온도로 저온저장 해줌

(느타리버섯) 종균접종은 겨울철이라도 배지온도를 25내외로 냉각시켜하고, 겨울철 환기는 유리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소량씩 지속적으로 해줌

축산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환절기) 큰 일교차 대비 축사시설 방풍 및 보온관리 철저, 축사 내부 청결관리

(화재예방) 환절기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양봉

(월동관리) 저온피해 예방 및 과보온 주의, 빈 벌집은 저온창고에 보관하거나 없을 경우, 밀폐비닐에 담아 알코올 처리하여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

(병해충 관리) 방치된 빈 벌집에 꿀벌부채명나방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목록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