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4.11.11.~2024.11.17.)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4.11.11.~2024.11.17.)
작성일2024/11/11/ 작성자농*터 조회수64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제46호(2024.11.11.~11.17.).hwpx (7915 kb)

분야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

정보

(기상) 기온은 평년(7.2~9.0)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3.0~6.5)보다 적겠음 * 주로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음

(저수율) 75.6%(평년 69.0%109.6%) * 11. 4. 기준

(볍씨 준비) 지역 적응품종 중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 확보, 보급종 공급 일정 확인 후 신청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개선 등 종합적 개량 관리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 소홀로 인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밭작물

(보리·)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정비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 가을재배로 채종한 품종은 실온보관하여 휴면기간을 단축해줌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이며, 습도는 85~90%

(종자관리) 종자저장을 위해 이병종자, 협잡물제거 유해동물 피해방지노력

채소

(가을배추) 농약안전사용 기준 철저히 준수, 한파대비 보온자재 준비

한번 얼었던 배추는 수확하지 말고 기온 상승을 기다려 회복 후 수확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심기 늦어진 포장 피복, 노균병 예방적 방제

(시설채소) 햇빛 강도에 따라 주는 관수량을 조절, 병해충 발생 초기 방제

(딸기) 당도 향상을 위한 변온관리, 양액 급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과수

(사과원 관리) 세력 약하면 낙엽 전 엽면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동해 대비) 배수로 정비, 나무 주간부 수성페인트 도포 등 보온자재 피복

(저장) 저장고 온도 0~2, 습도 80~90%, 산소 5%. 탄산가스 5~10% 적정

(환기) 이산화탄소, 에틸렌 가스장해 방지 위한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 10분씩)

화훼

(장미) 분화 장미를 시설 내에서 동절기에 재배 시 보광을 15시간 일장
처리하면, 생육이 증가하고 블라인드 발생률도 14~23% 감소

특작

(인삼) 표준 규격자재를 사용한 표준 해가림 시설을 설치하고, 월동기 차광막을 걷어 폭설로 인한 피해를 예방함

(약용) 세척·건조 후 4이하의 저온저장고에 보관하여 곰팡이 독소에 의한 오염을 차단해 줌

(느타리버섯) 겨울철에는 적정 습도 유지에 주의해야 하며, 실내 습도를 버섯 발생 시에는 90% 이상, 버섯 생장 시에는 80~90%를 유지함

축산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환절기) 큰 일교차 대비 축사시설 방풍 및 보온관리 철저, 축사 내부 청결관리

(화재예방) 환절기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양봉

(월동관리) 저온피해 예방 및 과보온 주의, 빈 벌집은 저온창고에 보관하거나 없을 경우, 밀폐비닐에 담아 알코올 처리하여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

(병해충 관리) 방치된 빈 벌집에 꿀벌부채명나방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목록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