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4.11.25.~2024.12.1.)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4.11.25.~2024.12.1.)
작성일2024/11/21/ 작성자농*터 조회수67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제48호(2024.11.25.~12.1.).hwpx (9292 kb)

분야

핵심기술 및 정보

농업

정보

(기상) 기온은 평년(4.0~5.6)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3.1~12.3) 비슷하거나 많겠음 * 이동성 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겠음

(저수율) 75.2%(평년 69.7%107.9%) * 11. 18. 기준

(볍씨 준비) 지역 적응품종 중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 확보, 보급종 공급 일정 확인 후 신청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개선 등 종합적 개량 관리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 소홀로 인해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점검관리 필요

밭작물

(보리·)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정비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 시설재배 채종 품종은 실온보관으로 휴면기간 단축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이며, 습도는 85~90%

(봄감자 신청) 종자신청 및 사전준비, 기본신청기간: 12.1.~12.31.

채소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은 부직포 또는 유공비닐 이중피복, 난지형마늘 월동 전에 뿌리 활착 잘 되어야 동해피해 줄임

(시설채소) 작물별 적온관리 하되, 야간 최저온도를 과채류는 12이상, 엽채류는 8이상 유지되도록 관리

(딸기) 당도 향상을 위한 변온관리, 양액 급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과수

(과원관리) 낙엽·잡초 등 병해충 월동 생육처 제거, 관수시설 물빼기 등

- 수확 후 밑거름 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저장) 저장고 내 온도 0, 상대습도 90%, 최대적재량 70~80% 유지

(환기) 이산화탄소, 에틸렌 가스장해 방지 위한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 10분씩)

화훼

(장미) 겨울철은 일교차가 큰 시기이므로 낮과 밤의 온도 차가 10이상 되지 않게 보온 관리에 유의, 적절한 환경 관리로 생리 장해 및 병충해 발생 억제

특작

(인삼) 폭설피해 예방을 위해 표준 해가림을 설치하고 월동기 차광망을 걷어 주는 것이 좋음

(약용) 세척·건조·저장 과정에서 품질변화가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 함

(느타리버섯) 버섯 개체수나 온도변화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해줌

축산

(겨울철) 온도관리 기자재 활용 적정 온습도 및 청결 유지, 어린가축 건강관리 유의

(화재예방) 환절기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양봉

(월동 환경 관리) 월동기간 동안 온도 차이가 많이 나지 않도록 관리, 월동장소 선정 등 관리요령을 숙지하여 각 환경에 맞도록 관리

(병해충 관리) 응애, 꿀벌부채명나방 등 피해 주의


목록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