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4.12.30.~2025.1.5.)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4.12.30.~2025.1.5.)
|
작성일2024/12/30/
작성자농*터
조회수80
|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제53호(2024.12.30.~2025.1.5.).hwpx (7944 kb)
|
분야 | 핵심기술 및 정보 | 농업 정보 | • (기상) 기온은 평년(-1.7~0.3℃)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평년(1.0~2.9㎜)과 비슷하거나 적겠음 * 이동성 고기압과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음 • (저수율) 77.1%(평년 72.0%의 107.1%) * 12. 23. 기준 | 벼 | • (볍씨 준비) 벼 보급종은 해당 지역 공급되는 품종을 미리 알아보고 기간 내 신청, 보급종 전국 단위 신청기간 ‘25.1.2.~1.31.(공급시기 1.10.~3.31.) • (벼 저온저장) 함수율 15% 이하, 온도 15℃ 이하, 습도 70% 이하 유지 | 밭작물 | • (보리‧밀)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밟아주기 실시 •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은 1월 중순까지가 파종 적기임 • (봄감자 신청) 종서신청 및 사전준비, 기본신청기간: 12.1.~12.31. | 채소 | • (시설채소) 적정습도 유지, 일조량 및 최저 한계온도 확보, 폭설대비 • (봄배추 육묘) 낮 온도 25℃이상 되지 않도록 관리, 적정 수분유지 | 과수 | • (과원정비) 낙엽·잡초 등 병해충 월동장소 제거, 반사필름·부직포 걷어줌 • (언피해 예방) 신규 개원은 과종별로 동해 우려 없는 안전재배 지대 재식 - 추위에 약한 품종은 경사지 위쪽, 강한 품종은 낮은쪽에 재식 - 대목 및 주간부를 지면에서 1m 방한조치(부직포, 볏짚 등) • (언피해 후 관리) 수피 파열된 부위 밴딩처리(묶어줌), 병해충 방제, 착과량 확보 등 | 화훼 | • (국화) 탄산가스 적정 농도 1,000~1,200ppm, 일출 30분 후부터 환기 전 2~3시간 시용, 재절화 재배는 1회 절화 시 무적심 재배, 전조는 3~4시간 실시 | 특작 | • (인삼) 겨울철 배수관리 철저, 복토를 통한 조기 발뇌 및 염해피해 경감 • (약용) 약용작물은 저온(4℃ 이하)에 보관하여 곰팡이독소 등 오염 방지 • (느타리버섯) 화재 발생주의, 온도 10~16℃, 습도 85% 유지 관리 | 축산 | • (겨울철) 온도관리 기자재 활용 적정 온습도 및 청결 유지, 어린가축 건강관리 유의 • (화재예방) 겨울철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 양봉 | • (월동 보온) 월동기 온도 변화에 맞게 봉군을 관리해야 하며, 벌통 입구를 조절하여 환기 및 온도 조절 • (쥐 방제) 트랩 설치 및 벌통 보수 등 사전 예방 조치 • (자재 정리 보관) 빈 벌통이나 자재는 열소독 또는 일광건조하여 정비 |
|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