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마당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딸기 우량 모종 생산은 어미 묘 관리부터 - 자료실 게시물 보기
딸기 우량 모종 생산은 어미 묘 관리부터
|
작성일2023/02/22/
작성자농*터
조회수202
|
다운로드딸기우량모종생산은어미묘관리부터.pdf (3076 kb)
|
"병해충 없는 어미 묘 준비, 아주심기 전 상토 소독 필수" 건강한 어미 묘 관리가 고품질 딸기 생산의 지름길
- 이상기후에 대응해 안정적으로 딸기를 생산하려면 병 없이 건강한 어미 묘를 준비해 아주심기하고 육묘 초기부터 철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지난해 8월 가을장마와 10월 이상고온으로 탄저병, 시들음병이 많이 발생했던 딸기 농가는 생산량이 줄면서 경제적 손실이 많았습니다.
딸기 촉성재배 시 어미 묘소질과 육묘 포장 관리
- 어미 묘는 전년도에 가장 좋은 묘를 육묘용으로 따로 구분해 준비해야 합니다. 탄저병, 시들음병, 역병 등 병원균 침입이 없고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조직 배양묘를 이용해야 합니다. 탄저병, 시들음병에 감염된 어미 묘를 사용하면 어미 묘 아주심기 후 모종이 시들거나 말라 죽을 수 있습니다.조직 배양묘란? :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한 바이러스 무병묘로 조직 배양묘에서 생산한 원묘를 원묘장, 기술센터 등에서 생산함
- 토양 전염성병인 시들음병과 역병은 오염된 상토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소독된 상토를 사용해야 합니다. 상토 소독이 어려울 때는 새 상토로 교체해서 병이 생길 수 없는 뿌리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아주심기 후 병 증상이 있는 딸기 묘는 병원균이 주변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바로 제거해야 합니다. 육묘기에는 월별 병해충 방제력을 적용해 방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미 묘의 묘소질에 따른 시기별 새끼 묘 발생 수출처 : 딸기 농업기술길잡이
- 어미묘는 줄기와 뿌리가 만나는 관부가 10mm 이상 굵은 것이 좋습니다.
- 관부 지름 9mm 이상의 어미 묘에서 새끼 묘의 발생량이 우수합니다.
딸기 촉성 재배력출처 : 딸기 농업기술길잡이 - 전년도에 건강한 어미 묘를 준비하여 12∼2월까지 어미 묘의 휴면을 타파(잠을 깨움) 합니다. 3월에 어미 묘를 아주심기하고 5∼6월까지 새끼 묘를 유인하고, 7∼8월에는 새끼 묘 뿌리내림을 유도하여 9월 본밭에 아주심기 합니다.
이어짓기한 포장에서 병을 옮기는 잔재물에 따른 탄저병 발생 정도출처 : 딸기 농업기술길잡이 - 재배지 주변에 탄저병을 옮길 수 있는 전년도 어미 묘, 새끼 묘 등 잔재물을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 안전사용기준 확인 방법 검색창에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 검색 → 메인화면 '농약검색' 또는 '농약정보'메뉴 - '농약검색' → 상표명, 작물명 등 검색하여 안전사용기준 확인 농약안전정보시스템 메인화면
농약안전정보시스템 '농약정보'메뉴 > '농약검색'
- 농약 포장지나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에서 농약 등록현황을 확인한 뒤 안전사용기준에 맞춰 방제합니다.
<농촌진흥청>
|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495
최종수정일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