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시작
감자 반쪽시들음병 발생 및 방제 - 숙박시설 게시물 보기
감자 반쪽시들음병 발생 및 방제
작성일2021/03/09/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조회수549
전용뷰어 다운로드감자반쪽시들음병발생및방제.pdf (2333 kb)

감자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 중에 반쪽시들음병이 있습니다. 토양이 병원균에 오염되어 생기는 감자 반쪽시들음병은 꽃이 필 때부터 아랫잎이 황녹색으로 변색되면서 위쪽으로 진행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감자 반쪽시들음병의 원인부터 여러 증상과 대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감자 반쪽시들음병에 감염되면

감자 반쪽시들음병의 증상으로는 생장이 감소하고 잎이 황화됩니다. 잎의 황화는 성숙에 의한 정상적인 황화보다 그 속도가 빠르고 군데군데 부분적으로 발생하면서 고르지 않은 분포를 보입니다. 또한 식물체 전체가 아니라 한쪽 편의 잎이나 줄기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식물체 성숙 증상과는 확실하게 구분이 됩니다.

병든 잎은 점차 갈색으로 변하면서 시들고, 심해지면 낙엽이 지며 죽지만 줄기는 뚜렷한 증상 없이 남아 있습니다. 병든 식물체의 줄기를 잘라보면 뿌리 부위부터 도관부(주로 수분의 통로가 되고 식물체를 지탱해 주는 부분)가 갈색화되고, 심한 경우 감자 덩이줄기도 유관 속 부위가 갈색으로 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병에 걸린 식물체는 수량이 감소하고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국내에서는 감자 반쪽시들음병균으로 verticillium albo-atrum(va)이 알려져 왔으나, 최근 또 다른 병원균으로 verticillium dahliae (vd)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두 병원균은 기주 범위가 넓으며 국내에서는 va의 기주작물로 감자를 포함하여 토마토, 참깨, 국화와 vd 기주작물로 가지, 토마토, 국화가 보고되었습니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 잔재물의 뿌리나 줄기 내부 혹은 토양 속에서 서식합니다. 또한 조직화된 균사 덩어리인 균핵이나 휴면 균사체를 형성하여 월동하고, 기주작물인 감자가 없어도 토양 속에서 매우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월동한 균핵이나 휴면 균사체는 이듬해 전염원이 되어 가스나 선충 등에 의한 뿌리의 상처를 통해 식물체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킵니다.

 

감자 반쪽시들음병 방제하기

감자 반쪽시들음병원균은 토양 속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으므로 심하게 오염된 재배지에서의 감자 재배는 피하고, 적어도 3년 이상 기주 작물이 아닌 다른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여 토양 속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오염된 재배지에서 사용한 농기구나 도구는 깨끗하게 세척하여 오염된 토양이 오염되지 않은 재배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감자 반쪽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토양 전염성이지만 토양뿐만 아니라 씨감자 내부 혹은 표면에 붙은 흙에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재배지에서 생산된 무병 감자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자 반쪽시들음병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은 품종마다 다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저항성 품종을 재배해야 합니다. 온실에서 병원균 vd를 사용하여 국내에 등록된 15개 장려 품종에 대한 품종별 반응을 조사한 결과 남서, 대지, 조원, 추동 등은 저항성, 조풍과 수미는 감수성이었습니다. 특히 토양의 높은 수분 함량은 병원균의 감염 확률을 높이기 때문에 재배지의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배수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자 품종별 반쪽시들음병에 의한 생장 감소와 도관 갈색화 정도

뿌리에 피해를 주는 미숙한 유기물 대신 완숙퇴비를 사용하고, 선충은 병원균의 침입 부위를 제공함으로서 병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충 밀도가 높지 않게 관리해야 합니다.

재배 기간 중에는 꽃이 핀 이후 재배지 내에서 병 발생을 정밀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병든 식물체를 발견할 경우 주변의 오염된 흙과 함께 뿌리를 포함한 식물체 전체를 즉시 제거하여 병원균이 다른 식물체로 감염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수확 후에도 재배지에 남아 있는 병든 식물체의 잔여물을 제거하여 병원균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감자 반쪽시들음병에 등록된 화학 농약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산부터 수확 후 단계까지 효과적인 병 예방을 위해서 포장 위생 관리, 무병 감자 및 저항성 품종 사용, 돌려짓기 등 다양한 방법을 종합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입니다.

<농촌진흥청>


목록

담당부서경제산업국 환경위생과  

전화번호051-709-4415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