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시작
과수·인삼, 봄철 저온 피해 예방해야 - 숙박시설 게시물 보기
과수·인삼, 봄철 저온 피해 예방해야
작성일2021/04/05/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조회수273

방지시설 미리 점검…인삼 새순 늦게 트도록 해가림

 ▲저온피해예방시설(미세살수장치를 가동중인 과수원)
 ▲저온피해예방시설(미세살수장치를 가동중인 과수원)

 

농촌진흥청은 올해 과수 꽃 피는 시기가 평년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과수, 인삼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3월말부터 4월 중순 사이 발생하는 저온현상 대비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4월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평년보다 다소 높은 기온 경향을 보이겠으나 상층의 찬 공기 영향으로 쌀쌀한 날씨를 보일 때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저온피해로 말라죽은 인삼 새순
 ▲ 저온피해로 말라죽은 인삼 새순

 

최근 3년간 발생한 봄철 저온현상은 주로 4월 상순경에 발생했으며 특히 과수(사과·배)와 인삼 작물에 피해가 집중됐다.
2019년에는 3월 23∼25일, 4월 1∼3일, 2020년에는 4월 5∼6일에 최저기온이–5∼-3℃로 떨어져 저온 피해가 발생했다.


사과, 배 등 과수는 4월 상·중순경 꽃이 만발하기 때문에 저온으로 꽃이 말라죽는 피해를 최대한 줄여야 상품성 있는 열매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방상팬, 미세살수장치 등 저온 피해 예방시설을 마련한 농가는 개화기 저온에 대비해 각 장치의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연소법을 활용할 농가는 연소자재를 미리 준비해 기온이 떨어졌을 때 적극 대응해야 한다.


저온 피해 예방시설이 없는 농가에서는 과수원 내부 공기흐름 방해물을 정리하고 과수원 땅 밑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또 과수원 바닥의 잡초 또는 덮개 제거 등을 실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무겁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내리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과수원 내부로 찬 공기가 흘러 들어오는 곳에 울타리를 설치하면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 찬 공기가 빠져 나가는 곳의 방해물을 치워야 한다.

 
과수원의 축축한 토양은 낮에 많은 태양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저온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 저온 발생 1∼2일 전에 땅속 30cm 깊이까지 적실 수 있는 정도의 물을 주는 것이 좋다.


과수원 바닥에 잡초나 반사필름 등이 있을 때는 햇빛을 차단 또는 반사하기 때문에 낮 동안 토양에 저장되는 태양에너지의 양이 줄어든다. 밤에는 토양으로부터 방출되는 태양에너지의 양도 감소돼 저온 피해를 받기 쉽다. 


개화기에 꽃이 저온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피해를 받지 않은 꽃에 인공수분을 실시해 결실률을 높여야 한다. 저온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열매솎기를 늦추고 열매 달림 여부를 확인된 뒤 열매솎기를 하는 것이 좋다. 


꽃이 말라죽는 등 저온피해가 심하게 발생한 경우에는 늦게 피는 꽃에도 열매가 달릴 수 있도록 조치해 나무의 세력을 안정시키고 질소질 비료 주는 양을 줄여야 한다.
인삼은 온도가 낮으면 새순이 죽기 때문에 최대한 싹이 늦게 틀 수 있도록 재배시설 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두둑에 햇빛이 들면 인삼 싹이 빨리 틀 수 있기 때문에 해가림망을 씌우고 인삼밭 주변에 바람막이용 울타리를 설치해 찬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저온피해를 심하게 입은 경우 새순이 말라죽는 것 외에도 잿빛곰팡이병, 줄기점무늬병 등 병해에 의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예방약제로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농업인신문>


목록

담당부서경제산업국 환경위생과  

전화번호051-709-4415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