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찰
총게시물 78건 | 페이지 : 1/7
-
문화유산 해동용궁사 목조보살좌상 해동 용궁사 소장 목조보살좌상은 균형된 신체비례에서 오는 안정감과 당당한 자세,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미소 짓는 부드러운 인상, 직선과 곡선적인 감각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표현한 간결..
-
문화유산 청량사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陁道塲懺法)>은 <미타참>․<정토문(淨土文)> 등이라고도 하며, 원(元)나라의 극락거사(極樂居士) 왕자성(王子成․王慶之)이 엮은 전체 10권의 불교 의례집으..
-
문화유산 장안사 응진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복장.. ○ 장안사 응진전에 봉안된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 납인된 복장유물에는 발원문을 포함하여 喉鈴筒, 『妙法蓮華經』 낱장, 觀世音菩薩寶篋手眞言 등이 있는데, 가장 윗부분에 발원문이 위치하..
-
문화유산 장안사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 장안사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는 송당 대우(松堂大愚)가 불설예수시왕생칠경(佛說預修十王生七經)을 근거로 예수재의 의식을 편찬한 것으로 생전에 사후의 극락왕생을 빌고 닦는 의식을 담은..
-
문화유산 장안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 및 시왕상.. 기장 장안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지장시왕상(부산시 유형문화유산)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 후령통, 전적류, 다라니 등 복장물 일괄이다. 9건 이상의 발원문을 포함하여 조선시대..
-
문화유산 인천안목 인천안목은 송나라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의 5개 종파의 기본사상과 창시자들의 행적을 요약하여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우리나라 선가(禪家)에서 많이 읽히는 책이다. 이 ..
-
문화유산 육경합부 ○육경합부는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아미타경」, 「수능엄신주」, 「관세음예문」 등을 합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편성되어 간행된 불전으로 중국과 일본 등..
-
문화유산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는 1474년(성종 5년)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발원으로 불경을 간행하는 관청인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개판(改版)된 왕실판본(王室版本)으로..
-
문화유산 석조석가여래삼존상 안적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은 1654년 나흠에 의해 조성된 불석제 석상이다. 이 상은 긴 신체비례와 높은 무릎과 신체와 밀착된 뭉뚝한 손, 물결모양을 이루는 두꺼운 끝단과 간..
-
문화유산 목조여래좌상 기장 동림사 소장 목조여래좌상은 단정하고 엄격해 보이는 인상, 넓은 하반신, 위로 반전된 손가락 모양과 다리 중앙에 펼쳐 놓은 1개의 넓은 옷주름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보아 ..
-
문화유산 도기 집모양 명기 ○ 집모양 토기는 가야문화권의 대표적인 상형토기로 알려져 있으며, 본 집모양 명기(家形 明器)는 기장 가동고분군(부경문물연구원 2014) ⅰ-2 석곽묘 하부 목곽묘에서 출토된 것으..
-
문화유산 기장 지장암 칠성도 기장 지장암 칠성도(機張 地藏庵 七星圖)는 치성광불을 중심으로 한 칠성여래와 칠원성군을 상하 2단의 병렬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도상 구성은 조선 말기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
담당부서문화환경국 문화관광과
전화번호051-709-3971
최종수정일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