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시작
노지 디지털 농업시대 맞춤형 농기계 - 숙박시설 게시물 보기
노지 디지털 농업시대 맞춤형 농기계
작성일2021/03/19/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조회수490
전용뷰어 다운로드맞춤형농기계.pdf (599 kb)

노지 디지털 농업기술

  • 농업현장을 데이터로 진단하고 인공지능(AI)으로 처방해 작목추천, 정밀재배, 스마트한 유통 판매로 편리성과 생산성을 구현하는 것을 디지털 농업이라 합니다.

  •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자율주행, 로봇, 드론, 센싱, 원격탐사 등의 첨단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된 농업 정보를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AI) 기술과 연계하여 노지에서 정밀농업을 실현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기술의 범위

  • 자율주행 농기계/ 로봇: 무인 농작업 농기계, 농작업 로봇

  • 정밀 농작업기계 : 정밀 파종기, 재배관리기, 수확기, 변량 작업기, 센싱 및 제어, 영농솔루션 등

  • 드론/ 원격탐사 : 농약 살포, 파종, 시비, 농자재 변량 살포, 해충 방제, 농작물 및 가축 모니터링

  • 빅데이터 & AI(SW): 작황 분석 및 계획, 처방 관리 알고리즘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디지털 혁신

  • ⇒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정부는 R&D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 정부의 R&D 투자 플랫폼: 자율주행차, 정밀 의료, 스마트시티, 지능형 로봇, 고기능 무인기, 미세먼지 저감, 스마트그리드, 스마트농업

  • ⇒ 디지털 농업 연구를 위해 데이터 기반 노지 디지털 농업 기반기술 연구와 토양, 기상, 생육 정보 표준화, 밭 농업기계 기술 개발 및 보급 확산 등의 모든 과정 요소기술이 필요합니다.


인공지능 기반 무인 자동화 정밀농업 활성화를 위한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성과

  • 직진주행 보조 모듈 또는 자동 선회 기능의 자율주행 트랙터 기술 개발 및 보급

    • - 국립농업과학원은 인공지능 기반 노지 농작업용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과원용 스마트 로봇 방제기를 개발하였습니다.

    • 자율주행 : 로터리 작업(3km/h) 시 경로 오차 ±9.5cm(사람이 운전할 때 ±21.2cm)

    • 로봇 방제기 특징 : 과수 인식 때에만 분사 -> 20∼30% 살포량 절감

    • 또한, 노지 디지털 농업을 적용을 위한 맞춤형 기계화 기술도 개발하였습니다. 그동안 기계화가 미흡했던 인삼 파종기, 마늘 수확기를 개발했으며 드론 방제기, 간척지 트랙터 등 2종의 농기계를 범용화, 고성능화하였으며, 특히 배추와 들깨의 경우 정식부터 수확까지 생산 모든 과정을 기계화하였습니다. 배추 정식에서 수확까지 생산 모든 과정을 기계화하여 노동력은 55.6%, 비용은 52%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들깨 생산 모든 과정 기계화는 노동력 58.4%, 비용 50.7%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대응에서 디지털 농업은 주요 키워즈


  • 농기계 기술은 Connected Farm 기술로 발전하고 있며 이를 위해 기계+전자+정보+전산+재배 기술을 포함하는 솔루션형 영농기술시스템으로 변화가 주된 경향입니다.

  • 국립농업과학원은 디지털 농업 인프라 및 플랫폼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산업체와 함께 최적의 영농솔루션 개발과 보급으로 농업 생산성과 수익성을 제고하는 역할로 국가 농업 경쟁력을 높여갈 계획입니다.

<농촌진흥청>


목록

담당부서경제산업국 환경위생과  

전화번호051-709-4415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