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 전문단지가 확대되고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에 대한 소득보전 대책이 추진된다.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충북도농업기술원에서 친환경농산물 재배 농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11년 유기농법연구회 워크숍’에서 ‘신친환경농업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친환경농업의 현주소=친환경농산물의 인증 농가수는 2005년 5만3,000가구에서 2009년은 19만9,000가구로 늘었다가 지난해는 18만4,000가구로 줄었다. 재배면적은 2009년에 20만2,000㏊로 증가했다가 지난해는 19만4,000㏊로 약간 감소했다.
친환경농산물(유기농·무농약·저농약 포함)의 가격은 일반농산물에 비해 1.2~2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통은 대형 마트와 전문매장을 통한 판매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규모는 3조6,500억원으로 추산된다. 세계적으로는 120개국 3,523만㏊에서 유기농업이 실천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저농약농산물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다 가공 등과 연계된 다양한 가치 창출이 미흡한 점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육성전략=농식품부는 친환경농업의 비전을 ▲생산자를 잘살게 ▲소비자를 행복하게 ▲자연을 건강하게 하는 데 두고, 지속 가능한 생산기반 조성, 유통과 소비의 활성화, 안전관리 체계의 구축, 가공 및 농자재산업의 활성화,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육성 등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친환경농업 전문단지를 확대한다. 유기농 특화단지와 유기농 생태마을을 2015년까지 50개소를 조성하고, 간척지를 활용해 원료생산과 수출주도형 유기농 단지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 친환경농업 생산기반 조성에 필요한 지력 증진을 위해 토양진단에 의한 시비체계를 확립하는 등 한국형 정밀농업 체계도 구축해 나간다.
특히 친환경 농가들의 소득보전 대책도 마련한다. 농자재와 노력비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저투입 친환경재배’ 매뉴얼을 개발해 보급하고, 유기농산물을 중심으로 친환경 직불제를 개편해 나간다.
다양한 유통채널도 육성된다. 친환경농산물 전용 물류센터를 활성화하고, 농협 유통센터의 친환경농산물 취급 및 도매기능도 확대해 나간다. 생협과 전문 유통업체 등 소비지 매장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학교급식 등 대량 수요처를 적극 발굴해 나간다.
유기농식품 인증제도도 정비한다. ‘친환경농어업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인증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유기농 관련 인증대상 범위도 유기농산물 외에 수산물·가공식품 등으로 확대한다. 2015년까지 유기가공식품 명품(名品)업체 100개소를 육성하고, 생산기반과 상품화·가공·마케팅을 결합한 ‘유기농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농민신문 : 2011/03/28]
자료실
콘텐츠시작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495
최종수정일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