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마당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축사 화재·폭설피해 예방요령 - 자료실 게시물 보기
축사 화재·폭설피해 예방요령
작성일2012/02/02/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조회수1363

끝나지 않은 겨울…축사 전기점검·눈치우기 철저히

 국립축산과학원은 올해 잦은 기습 한파와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축사 화재 및 폭설 피해 주의를 긴급 당부했다. 축산과학원이 제시한 축사 화재 예방과 축사 관리수칙을 간추린다.

 ◆축사 화재 예방=현재까지 화재가 발생한 축종을 살펴보면 양돈장 70%, 양계장 20% 순이다. 특히 화재 발생시간은 저녁~다음날 새벽 사이가 60% 이상으로 많다. 발화원인은 대부분 전열기구 과열로 집계됐다.

 밀폐된 축사에서 화재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지붕의 단열이 부족한 양돈장·양계장은 밀폐축사라 하더라도 환기시설을 자주 점검한다. 축사 내 높은 습도와 먼지를 축사 외부로 배출해 누전의 원인을 차단해야 한다.

 전기설비 점검과 개·보수는 전문업체에 의뢰하고 개폐기 차단기는 주 1회 이상 점검한다. 또한 전선 등 배선은 방수용 전선을 사용하고 피복이 벗겨질 우려가 있는 노후전선은 즉시 교체한다. 보온등·온풍기 등 전열기구와 전선의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한개의 콘센트에 많은 배선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 소화기나 고압세척기 등을 축사 주변에 준비해 둔다.

 ◆폭설에 따른 축사 관리=폭설로 파손된 축사를 신속하게 복구하고, 축사 지붕에 과도한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축사가 밀폐된 양돈장이나 양계장은 축사 안의 온도를 높여 축사 위 눈이 빨리 녹도록 한다.

 특히 개방된 우사는 볏짚·톱밥·왕겨 등을 준비해 기온이 갑자기 떨어질 경우 깔아 준다. 또 축사 옆 배수로를 깊게 설치해 눈 녹은 물로 인해 습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사료는 평소 급여량보다 10% 정도 늘려 주도록 한다. 개방된 축사(우사)의 경우 차단벽을 설치해 준다. 특히 축사 내로 들어오는 샛바람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또 최근에 분만한 새끼들은 보온관리를 잘해 주고 소독을 철저히 한다. 호흡기·소화기질병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약해야 한다.[농민신문]

목록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495

최종수정일2023-09-1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입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