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들에게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하는 축산업이 축산물 품질 개선과 생산량 증가는 어느 정도 이뤘으나 분뇨나 질병·환경 문제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는 지적이 있어 축산 농민들의 인식전환이 절실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축산업 선진화 방안 연구’에서 전문가 32명이 답변한 ‘축산업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질병 관리 및 방역 시스템 미흡 ▲열악한 축사시설 및 사육 환경(밀집사육 등) ▲낮은 생산성 ▲축산농가의 사회적·환경적 책임의식 미흡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과도한 사육 마릿수’ ‘가축분뇨의 부적절한 처리’ ‘국민의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생각’ ‘지역 주민의 님비(축사시설 설치 거부 현상)’ ‘가축분뇨 자원화 미흡 및 퇴액비 품질’ 등이 꼽혔다.
전문가들은 이 조사 결과가 청결하지 않은 축사 환경과 가축분뇨 처리 및 질병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축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했다. 축산업 생산액이 2002년 9조1,000억원에서 2010년 17조5,0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늘었고 한우 자급률도 2002년 36.6%에서 2010년 43.2%로 증가했다.
하지만 생산성과 부가가치가 낮은 데다 종축과 사료의 해외 의존도는 더 심화됐으며, 국민들에게는 잇단 가축 질병과 분뇨 처리 문제 등으로 ‘혐오산업’으로 인식된 것이 사실이라는 것이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환경부의 가축사육제한구역 지정 권고안이 나온 배경에 우리 축산농민들의 분뇨 처리와 질병문제에 대한 소극적이고 무신경한 대응도 한몫했다고 지적했다.
축산농민들도 규제를 위한 규제는 개선해야 하나 축산농가 단위의 자발적 개선 노력도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한 축산농민은 “같은 축산농민이더라도 축종과 농가에 따라 냄새 수준이나 축사 환경이 천차만별인 것은 사실”이라며 “솔직히 가축사육제한구역 지정 등 규제도 자초한 측면이 없지는 않은지 모두가 되돌아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민국 농경연 연구위원은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사회적으로도 축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얻을 때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농민신문]
자료실
콘텐츠시작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495
최종수정일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