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3.07.31.~2023.08.06.)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3.07.31.~2023.08.06.)
|
작성일2023/07/27/
작성자농*터
조회수58
|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2023.07.31.~2023.08.06.).hwpx (19615 kb)
|
분야 | 핵심기술 및 정보 | 농업 정보 | • (기상) 기온은 평년(25.7~27.1℃)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19.1~66.6㎜)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 많은 비가 오는 때가 있겠음 • (저수율) 저수율 : 83.6% (평년 61.5%의 135.9%) / 7.24. 기준) | 벼 | • (본답관리) 이삭 생길 때부터 팰 시기까지는 환경에 민감하므로 물 관리 철저 • (병해충관리)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먹노린재 적용약제 방제 | 밭작물 | • (콩) 콩의 생육상황을 고려하여 웃거름 주기(개화기, 비대기 종실 불량 시 유안 4~6㎏/10a 시용) • (가을감자) 장마 후 가을감자 파종, 재식밀도는 10a당 6,600주 정도 알맞음 • (참깨) 참깨 2모작에서는 역병과 잎마름병 위주의 중점 방제 | 채소 | • (고추) 고온기 지속적 관수로 수분 유지 및 석회결핍 예방 • (여름 배추‧무) 고온이 지속되면 정식 25일 이후 무름병 발생이 심해짐으로 1주 간격으로 예방적 약제 살포함 • (마늘‧양파) 씨마늘 준비, 양파 조생종 가을뿌림 재배 8월 중순~하순 파종 | 과수 | • (침수피해) 하천 저지대 주로 발생, 토양 침식과 나무 쓰러짐, 부유물질 쌓임 • (사후관리) 쓰러진 나무는 일으켜 세우고 뿌리 주변 흙을 채우고 지지대로 고정, 2차 감염 방지를 위해 살균제 살포 및 병해충 방제 • (고온기 과원 관리) 31℃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 적기 물주기, 가지 유인 등 | 화훼 | • (카네이션) 생육에 적합한 기온은 주간 15~20℃, 야간 15℃, 근권온도 15~20℃ 정도로 유지가 필요. 장마 후 고온 시 녹병·줄기썩음병·회색곰팡이병 등 방제 필요 • (심비디움) 여름철 8월까지는 차광망을 설치하고 아침저녁으로 2회 관수, 고온에 의한 꽃떨림 현상 및 광에 의한 일소현상 발생 주의 | 특작 | • (인삼) 고온피해가 우려되는 포장은 2중직 차광막을 덧씌우고, 토양 수분이 부족하면 고온피해가 증가하므로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함 • (약용작물) 구기자는 열매가 익는 대로 수시로 수확해주고, 열풍 건조한 경우는 열매 크기에 따라 건조온도와 시간을 준수함 • (버섯) 균 기르기를 할 때는 한낮 고온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가능한 품종특성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하여 균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함 | 축산 | •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 (고온기)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송풍팬 및 환기시설 점검, 주기적 소독 실시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 양봉 | • (폭염 봉군관리) 봉군의 내검 시간은 오전 6~9시 사이가 이상적임 • (수벌양성) 무밀기로 수벌을 인위적으로 양성해야 하며, 당액과 화분떡을 충분히 공급하여 가상의 유밀 상황을 조성 • (병해충 관리) 8월은 꿀벌응애 최대 번식기로 약제 방제 및 생태방제 등 종합방제로 증식 억제 |
|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