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기술정보
행복을 품은 도시, 미래를 여는 기장
콘텐츠시작
주간농사정보(2023.09.11.~09.17.) - 주간농사정보 게시물 보기
주간농사정보(2023.09.11.~09.17.)
|
작성일2023/09/06/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조회수48
|
다운로드주간농사정보(2023.09.11.~09.17.).hwpx (9209 kb)
|
분야 | 핵심기술 및 정보 | 농업 정보 | • (기상) 기온은 평년(20.2~21.6℃)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15.6~52.3㎜)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겠음 • (저수율) 저수율 : 80.4% (평년 68.5%의 117.4%) / 9. 4. 기준) | 벼 | • (후기 논 관리) 쌀 품질 향상을 위해 완전 물 떼기는 이삭 팬 후 30~40일경이 적기 • (수확 후 건조) 일반용은 45~50℃에서,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호흡량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안정 수분함량 약 15%까지 건조 | 밭작물 | • (땅콩) 수확 시기는 9월 중순~10월 상순, 10~15℃ 저온저장 • (수수, 기장, 조 등) 적기 수확으로 뒷그루 작물 재배 준비 • (풋거름 작물) 헤어리베치 파종적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 | 채소 | • (고추) 탄저병 예찰 강화, 홍고추 제때 수확, 수확 후 2∼3일 정도 후숙 • (가을배추‧무) 잦은 강우로 정식기를 놓친 지역은 빨리 정식 • (마늘‧양파) 마늘 씨마늘 준비, 양파 육묘기 잘록병 방제 | 과수 | • (과실수확) 잘 익은 과실만 골라 여러 차례 나누어 수확, 신품종 적기 수확 • (사과 품질관리) 만생종 수확 30일 전후로 봉지를 벗겨 착색 관리 해줌 • (기상재해 대비) 수확기 태풍, 집중호우, 강풍 대비 지지대 보강, 열매 가지 고정,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풍망 점검, 배수로 정비 및 경사지 비닐 피복 | 화훼 | • (국화 관리요령) 생육이 지연되는 로제트 현상을 타파하기 위해 조생종은 5℃ 이하에서 15일, 만생종은 4주 이상 저온 경과시켜 줌 | 특작 | • (약용작물) 작약은 세근이 발생하기 전후에 수확하는 것이 품질이 좋으며, 율무는 전체 종실이 70~80% 익었을 때 수확함 • (느타리버섯) 가을 재배는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므로 버섯모양과 균상상태를 확인하여 품종별 특성에 맞는 온·습도 조절로 기형버섯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함 | 축산 | • (겨울 사료작물) 지역별 최저기온 등을 고려하여 적정 품종 및 파종시기 선택 • (환절기 축사관리) 일교차 대비 방풍‧보온 철저, 면역력 저하된 가축 건강관리 •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 양봉 | • (가을철 봉군관리) 9월 중하순 월동 벌을 키워낼 일벌의 양성을 마무리하는 시기로 당액공급과 화분공급을 부족함 없도록 조치 • (병해충 관리) 응애류, 말벌, 나방, 거미 등 방제 실시 |
|
담당부서농업기술센터
전화번호051-709-5312
최종수정일2023-09-15